이종구 (195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종구는 1950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제17회 행정고시에 합격 후 재무부에서 공무원으로 근무했으며, 금융감독위원회 상임위원과 금융감독원 감사를 역임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강남구 갑 지역구에 한나라당 후보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제20대 국회 후반기에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공천헌금 수수 의혹과 종교인 퇴직금 과세 범위 개정안 공동 발의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돈암초등학교 동문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 서울돈암초등학교 동문 - 고흥길
대한민국의 정치인 고흥길은 충남 청양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일보 기자 출신으로, 제16대, 17대, 18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미디어법 직권상정 등으로 논란이 있었고, 경기 성남시 분당구 갑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세 번 당선되었다. - 전라남도 출신 - 최지훈 (성우)
최지훈은 애니메이션, 외화,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 전라남도 출신 - 오준혁
오준혁은 한화, KIA, kt, SK(현 SSG)를 거친 전직 프로 야구 선수로, 은퇴 후 2023년부터 SSG 랜더스 타격보조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광주 이씨 - 이순재
이순재는 함경북도 회령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전직 국회의원으로, 1956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60년 이상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드라마 '거침없이 하이킥', 영화 '굿모닝 프레지던트' 등에 출연했으며 국회의원과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하고 예능 출연 및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 광주 이씨 - 이우재 (1934년)
이우재(1934년)는 육군 준장으로 예편 후 정치, 기업, 체육 분야에서 활동하며, 제11대 국회의원, 한국전기통신공사 초대 사장, 체신부 장관, 대한사격연맹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종구 (195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정치인 정보 | |
이름 | 이종구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 | ''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시 |
학력 |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노스웨스턴 대학교 켈로그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
본관 | 광주 |
종교 | 개신교 |
군복무 | 육군 이등병 소집해제 |
부모 | 이중재(부) |
자녀 | 2녀 |
경력 |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 바른정당 정책위의장 바른정당 최고위원 자유한국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정당 | 국민의힘 |
지역구 | 서울 강남구 갑(17·18·20) |
의원 선수 | 3 |
의원 대수 | 17·18·20 |
웹사이트 | 'http://blog.naver.com/jjongkoo50' |
2. 학력
- 1963년 서울남산국민학교에서 서울돈암국민학교로 전학하여 졸업하였다.
- 1966년 경기중학교를 졸업하였다.
- 1969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 1969년부터 1973년까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1978년부터 1980년까지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켈로그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3. 경력
1975년 제17회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하였다. 1975년 9월부터 1976년 5월까지 국세청 광주세무서 총무과 과장을 역임하고, 1976년 6월부터 1978년 6월까지 재무부 법무관실, 금융제도심의관실 사무관으로 근무하였다. 1980년 7월부터 1986년 4월까지 재무부 이재국 금융정책과에서 근무하였다. 1986년 5월부터 1989년 4월까지 관세공무원교육원 교수부장(서기관)을 역임하였다.
1989년 4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재무부 은행과 과장, 1991년 12월부터 1993년 2월까지 재무부 경제협력과 과장, 1993년 2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재무부 국제금융과 과장을 역임하였다. 1994년 재정경제원 외화자금과 과장을 거쳐, 1996년 4월 재정경제원 금융제도담당관을 역임하였다. 1996년 8월부터 1998년 1월까지 재정경제원 금융제도담당관(부이사관)으로 근무하였다.
1998년 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청와대 경제수석실에서 비공식 파견 근무를 하였고, 1998년 3월부터 1999년 1월까지 재정경제부 부이사관으로 국방대학원 연수를 받았다. 1999년 1월부터 1999년 9월까지 금융감독위원회 구조개혁기획단 제1심의관을 역임하였다. 1999년 9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 국장(부이사관), 1999년 12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 국장(이사관)을 역임하였다.
2001년 4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재정경제부 부총리특별보좌관을 역임하고, 2001년 7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금융감독위원회 상임위원(1급)을 역임하였다. 2003년 5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금융감독원 감사를 역임하였다.
2004년 4월 15일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강남구 갑 지역구에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어 초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후 2008년 4월 9일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및 2016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연이어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4. 정치 활동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7대 국회의원(서울 강남구 갑, 한나라당, 초선)을 역임하였다. 한나라당 수도이전특위 위원, 국회상록회 회원, 국회의원 축구연맹 회원이었다.
- 재정경제위원회 한나라당 간사, 한일의원연맹 회원이었다. 한나라당 국민참여위원회 재정경제분과위원장, 제17대 국회 디지털경제연구회 대표의원을 역임하였다.
- 한나라당 제3정조위원장, 제17대 국회 예산·결산 특별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수석정조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제17대 국회 한미FTA특별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중앙위원회 수석부의장, 한나라당 제1사무부총장을 역임하였다.
- 한나라당 제17대 대선후보선거관리위원회 간사, 한나라당 선대위 일류국가비전위원회 총괄간사, 한나라당 선대위 정책대변인을 역임하였다. 한나라당 제18대 총선 공천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8대 국회의원(서울 강남구 갑, 한나라당→새누리당, 재선)을 역임하였다. 제18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정책위부의장, 제18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겸 한나라당 간사, 한나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제20대 국회의원(서울 강남구 갑, 새누리당→무소속→바른정당→무소속→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 3선)을 역임하였다.
- 제20대 국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이었다.
- 바른정당 정책위의장&정책연구팀장, 바른정당 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
- 제20대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이었다.
- 자유한국당 정책자문위원단장 겸 정책위원회 부의장이었다.
- 제20대 국회 헌법개정 및 정책개혁 특별위원회 위원이었다.
- 자유한국당 미세먼지특별위원회 위원이었다.
- 자유한국당 2020 경제대전환 위원회 활기찬 시장경제 분과위원이었다.
- 제20대 국회 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이었다.
- 자유한국당 日수출규제 대책 특별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4. 1. 제17대 국회
2004년 5월 30일부터 2008년 5월 29일까지 제17대 국회의원(서울 강남구 갑, 한나라당, 초선)을 역임하였다. 한나라당 수도이전특위 위원, 국회상록회 회원, 국회의원 축구연맹 회원이었다.재정경제위원회 한나라당 간사, 한일의원연맹 회원이었다. 한나라당 국민참여위원회 재정경제분과위원장, 제17대 국회 디지털경제연구회 대표의원을 역임하였다.
한나라당 제3정조위원장, 제17대 국회 예산·결산 특별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수석정조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제17대 국회 한미FTA특별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중앙위원회 수석부의장, 한나라당 제1사무부총장을 역임하였다.
한나라당 제17대 대선후보선거관리위원회 간사, 한나라당 선대위 일류국가비전위원회 총괄간사, 한나라당 선대위 정책대변인을 역임하였다. 한나라당 제18대 총선 공천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4. 2. 제18대 국회
2008년 5월 30일부터 2012년 5월 29일까지 제18대 국회의원(서울 강남구 갑, 한나라당→새누리당, 재선)을 역임하였다. 제18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정책위부의장, 제18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겸 한나라당 간사, 한나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을 역임하였다.4. 3. 제20대 국회
2016년 5월 30일부터 2020년 5월 29일까지 제20대 국회의원(서울 강남구 갑)을 역임했다. 3선 의원으로, 새누리당 소속으로 당선되었으나 이후 무소속, 바른정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으로 당적을 변경했다.제20대 국회 전반기에는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바른정당에서는 정책위의장 겸 정책연구팀장,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제20대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 자유한국당 정책자문위원단장 겸 정책위원회 부의장, 제20대 국회 헌법개정 및 정책개혁 특별위원회 위원, 자유한국당 미세먼지특별위원회 위원, 자유한국당 2020 경제대전환 위원회 활기찬 시장경제 분과위원으로 활동했다.
제20대 국회 후반기에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또한 자유한국당 日수출규제 대책 특별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5. 논란
5. 1. 공천헌금 수수 의혹
자유한국당은 2017년 10월 19일 이종구 바른정당 의원이 전 강남구의원에게 수천만원의 공천헌금을 받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1] 한국당 서울 강남갑 핵심당원들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이학기 전 구의원이 지난 16일 '카톡방'을 통해 '정치인 L씨에게 공천뇌물을 주었다'고 폭로했다"며 "카톡 메시지를 보면 L씨가 이종구 의원임을 쉽게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1] 이어 "검찰은 사건을 철저히 수사해 조치해야 한다"며 "이 의원은 국민들에게 사죄하고 의원직에서 사퇴하라"고 촉구했다.[1]이에 대해 이종구 의원은 "전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1] "요즘 내가 한국당으로 다시 갈 것처럼 보도가 되니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할 (한국당 소속) 시의원이나 구의원 후보자들이 음해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1]
5. 2. 종교인 퇴직금 과세 범위 개정안 공동 발의
이종구는 종교인 퇴직금에 대한 과세 범위 개정안을 공동 발의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이 법안은 2019년 4월 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2018년 1월 1일부로 시행된 종교인 소득세법에 대해, 2018년 1월 이후 근무 기간에 대해서만 퇴직금을 인정하게 된다. 이는 조세 형평성 문제를 야기하고 거액의 불로소득을 합법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 비판을 받았다.개정안은 대표 발의자인 정성호 의원 외에 더불어민주당 김정우, 강병원, 유승희, 윤후덕, 자유한국당 김광림, 권성동, 이종구, 추경호, 민주평화당 유성엽 등 10명의 의원이 발의자로 참여했다.
6. 저서
- 원칙이 개혁이다
- 날자, 날아보자 한국 경제(공저)
7. 역대 선거 결과
이종구는 제17대 총선에서 서울 강남구 갑 선거구에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제18대 총선 및 제20대 총선에서도 같은 선거구에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제21대 총선에서는 경기 광주시 을 선거구에 미래통합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선거명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제17대 총선 | 17대 | 국회의원 | 서울 강남구 갑 | 한나라당 | 76,601표 | 62.99% | 1위 | 당선 | 초선 |
제18대 총선 | 18대 | 국회의원 | 서울 강남구 갑 | 한나라당 | 61,047표 | 64.90% | 1위 | 당선 | 재선 |
제20대 총선 | 20대 | 국회의원 | 서울 강남구 갑 | 새누리당 | 44,682표 | 54.82% | 1위 | 당선 | 3선 |
제21대 총선 | 21대 | 국회의원 | 경기 광주시 을 | 미래통합당 | 38,910표 | 42.18% | 2위 | 낙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